나에게 이슈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학폭위) 진행과정 및 대응 가이드

Marcus Park 2025. 1. 12. 19:48
728x90

학폭위

학교폭력 문제는 학생과 학부모에게 심각한 고민을 안겨주는 사회적 문제입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학교에서는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이하 학폭위)**를 운영하며, 피해 학생과 가해 학생 간의 문제를 조정하고 해결책을 모색합니다. 하지만 학폭위 진행과정과 대응 방법을 잘 모르면 피해자나 가해자 모두 혼란스러울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학폭위의 정의와 역할, 진행과정, 대응 방법,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기관, 무료 법률 상담 서비스, 이의제기 방법 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여 학부모와 학생들이 올바르게 대처할 수 있도록 돕겠습니다.

728x90

📌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학폭위)란?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학폭위)**는 학교에서 발생한 학교폭력 사건을 조사하고, 가해 학생에 대한 조치를 결정하는 기구입니다. 학교폭력의 예방과 대처를 위해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에 설치되어 있으며, 학교장 주관으로 운영됩니다.

✅ 학폭위의 주요 역할

  1. 학교폭력 사건 조사 및 심의
  2. 피해 학생 보호 조치 결정
  3. 가해 학생에 대한 징계 조치 결정
  4. 재발 방지를 위한 조치 마련

학폭위는 공정하고 객관적인 판단을 통해 피해자와 가해자의 권리를 보호하고, 학교 내 안전한 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 학폭위 진행과정

학교폭력 사건이 발생하면 다음과 같은 절차를 거쳐 학폭위가 진행됩니다. 각 단계별로 구체적인 내용과 대응 방법을 정리했습니다.

✅ 1단계: 학교폭력 신고

학교폭력 사건이 발생하면 학생, 학부모, 교사, 주변인 등이 학교에 신고할 수 있습니다. 신고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가능합니다.

  • 학교폭력 신고서 제출
  • 담임교사나 상담교사에게 구두 신고
  • 학교 홈페이지 또는 교육청에 신고

✅ 2단계: 학교장 조사

신고가 접수되면 학교장이 사건을 조사하고, 학폭위 개최 여부를 판단합니다. 학교장은 피해 학생과 가해 학생의 진술을 듣고, 사건의 경위를 파악합니다.

  • 학교장이 학폭위 개최를 결정하면 학폭위 개최 통보가 이루어집니다.

✅ 3단계: 학폭위 개최

학폭위는 학교장이 주관하며, 다음과 같은 위원들이 참여합니다:

  •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 학부모, 교사, 외부 전문가 등으로 구성
  • 피해 학생과 보호자
  • 가해 학생과 보호자

학폭위에서는 다음 사항을 심의합니다:

  1. 사건의 사실관계 확인
  2. 피해 학생 보호 조치 결정
  3. 가해 학생에 대한 징계 조치 결정

학폭위 결과는 의결서 형태로 통보됩니다.

✅ 4단계: 조치 결과 통보

학폭위가 끝난 후, 피해 학생과 가해 학생 모두에게 조치 결과가 통보됩니다. 피해 학생은 보호 조치를 받고, 가해 학생은 징계를 받게 됩니다.

📋 주요 조치 사항

  • 피해 학생 보호: 상담, 치료 지원, 학습 보호 등
  • 가해 학생 징계: 서면 사과, 특별 교육, 출석 정지, 전학 조치 등

✅ 5단계: 이의제기 및 재심

학폭위의 결정에 대해 피해자 또는 가해자 측에서 이의가 있을 경우, 교육청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에 재심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 이의제기 기간: 학폭위 결과 통보 후 15일 이내
  • 재심 신청 방법: 교육청에 재심 청구서 제출

📖 학폭위 대응 방법

학폭위에 참석하게 된다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피해 학생 측 대응 방법

  1. 증거 자료 준비: 학교폭력 사건을 입증할 수 있는 자료(사진, 문자 메시지, 진단서 등)를 준비하세요.
  2. 진술서 작성: 피해 상황을 구체적으로 기록하여 진술서를 작성하세요.
  3. 심리 상담 지원 받기: 심리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경우 전문 상담사의 도움을 받으세요.

✅ 가해 학생 측 대응 방법

  1. 사실관계 확인: 가해자로 지목된 경우, 사건의 사실관계를 정확히 파악하고, 오해가 있는 부분을 바로잡으세요.
  2. 반성문 작성: 잘못이 인정되는 경우, 진심 어린 반성문을 작성하세요.
  3. 변호사 상담: 법률적인 문제가 있는 경우 변호사의 상담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기관

학교폭력 사건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경우 다음 기관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 대한법률구조공단

✅ 학교폭력예방재단


📖 무료 변호사 및 법률 상담 서비스

학교폭력 사건은 법률적인 문제가 얽혀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음과 같은 기관에서 무료 변호사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대한법률구조공단

  • 무료 법률 상담 및 변호사 지원
  • 전화 상담: 132

✅ 서울지방변호사회


📖 이의제기 방법

학폭위 결정에 대해 이의가 있을 경우 다음과 같은 절차로 이의제기를 할 수 있습니다.

✅ 1. 재심 청구

  • 교육청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에 재심 청구서를 제출합니다.
  • 재심 청구는 학폭위 결과 통보 후 15일 이내에 해야 합니다.

✅ 2. 행정심판 청구

재심 결과에 불복할 경우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위원회에 청구
  • 행정심판 기간: 재심 결과 통보 후 90일 이내

📖 결론: 학교폭력 문제에 올바르게 대응하기

학교폭력 문제는 피해 학생과 가해 학생 모두에게 심각한 영향을 미칩니다. 학폭위 절차를 잘 이해하고, 필요한 자료를 준비하며,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기관을 활용하면 학교폭력 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습니다.

이 글을 통해 학폭위의 진행과정과 대응 방법을 이해하고, 학교폭력 문제에 현명하게 대처하시기 바랍니다.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