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는 결혼과 관련해 독특한 용어와 개념들이 존재합니다. 겹사돈, 맞사돈 같은 표현은 단순한 언어가 아니라, 오랜 시간 내려온 가족 중심의 혼인 문화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더 나아가, 법적으로도 누구와 결혼할 수 있는지, 몇 촌까지 가능한지에 대한 명확한 규정이 존재합니다.
이 글에서는 한국의 가족 간 결혼 금지 범위와 그 배경, 세계 각국의 유사 규정과 문화적 차이, 그리고 시대에 따라 어떻게 인식이 변해왔는지를 정리해드립니다.
📌 1. 겹사돈, 맞사돈이란?
용어의미
겹사돈 | 두 형제가 각각 두 자매와 결혼한 경우처럼, 양가의 사돈 관계가 2중으로 형성된 상황 |
맞사돈 | 서로의 자녀가 각각 결혼하여 사돈 관계가 형성된 것. 또는 두 집안에서 서로의 자녀끼리 각각 두 번 사돈이 된 경우 |
▶ 예시:
- A씨의 딸과 B씨의 아들이 결혼
- A씨의 아들과 B씨의 딸도 결혼 → 이 경우 겹사돈 + 맞사돈 상황
⚖️ 2. 한국 법상 결혼 금지 범위 (2024년 기준)
한국은 예전에는 팔촌 이내 혈족 간 결혼 금지라는 전통적 규범이 있었지만, 현재 법적으로는 다음과 같이 정리되어 있습니다.
💡 민법 제809조 (근친혼 금지)
"친족 중 8촌 이내의 혈족은 혼인하지 못한다." (이전 조항, 1997년 헌법재판소 위헌 판결)
→ 현재는 직계혈족, 형제자매(2촌) 간 혼인만 금지되고 있습니다.
✅ 결혼 금지 대상 (법적 금지)
- 직계혈족: 부모, 조부모, 자녀, 손자녀
- 형제자매: 친형제자매, 이복형제자매 포함
✅ 결혼 가능 대상 (법적 허용)
- 사촌(4촌), 오촌, 육촌 등은 법적으로 혼인 가능
- 하지만 문화적으로는 꺼리는 분위기가 여전히 강함
🧭 3. 문화적·역사적 배경: 왜 이렇게 복잡해졌을까?
- 한국은 유교적 가족관계 중시 문화 속에서, 혼인을 단순한 개인 간 결합이 아닌 두 집안의 결합으로 여겨왔습니다.
- 사돈 간 예절, 격식, 위계질서를 중요시하며, 같은 집안끼리 겹치지 않도록 회피하는 경향이 강했습니다.
- 예전엔 동성동본(同姓同本) 금혼제도도 존재해, 같은 성씨와 본관이면 결혼 자체가 금지되었습니다. (1997년 헌법재판소 위헌 판결로 폐지됨)
📜 역사적 사례
- 조선시대 혼인 제도: 가족 간 통혼(계급 내 혼인)은 권장되었지만, 동일 혈족 간 혼인은 엄격히 금지됨
- 고려 시대: 외척세력 확대를 위해 일부 근친혼 허용 사례도 존재
🌍 4. 외국은 어디까지 결혼이 가능할까? (국가별 비교)
국가 | 혼인 금지 범위 | 특징 |
🇯🇵 일본 | 직계혈족, 형제자매 | 사촌 간 결혼은 합법, 실제 빈도는 낮음 |
🇨🇳 중국 | 직계혈족, 삼촌과 조카 등 | 사촌 간 결혼은 대부분 허용, 일부 지역은 금지 |
🇺🇸 미국 | 주마다 다름. 대부분 형제자매 금지, 일부 주는 사촌도 금지 | 사촌 결혼 합법인 주: 캘리포니아, 뉴욕 등 |
🇩🇪 독일 | 직계혈족, 형제자매 금지 | 사촌 간 결혼 허용됨 |
🇫🇷 프랑스 | 직계혈족만 금지 | 사촌 간 자유롭게 결혼 가능 |
➡️ 전 세계적으로 공통된 기준은 '직계혈족 및 형제자매 금지'이며, 사촌(4촌)까지는 대부분 허용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그 외 알아두면 좋은 개념들
👥 촌수 계산 방법
- 본인 기준
- 부모 ↔ 1촌
- 형제자매 ↔ 2촌
- 사촌(부모의 형제 자녀) ↔ 4촌
🔄 동성혼/근친혼 혼동 주의
- 일부 국가는 동성혼은 허용하나 근친혼은 절대 금지 (예: 캐나다, 네덜란드)
- 일부 종교국가에서는 이슬람법에 따라 사촌 간 결혼이 일반적이기도 함 (예: 파키스탄, 사우디아라비아)
✍️ 마무리 요약
한국의 겹사돈, 맞사돈이라는 개념은 혼인을 가족 간 결합으로 인식하는 문화적 전통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법적으로는 직계혈족 및 형제자매를 제외하면 대부분 혼인이 가능하지만, 사회적으로는 여전히 조심스럽게 접근하는 분위기가 남아 있습니다.
글로벌 시대 속에서 결혼은 점점 개인의 선택으로 존중받고 있지만, 그 근간에는 여전히 ‘혈연’과 ‘문화’라는 보이지 않는 기준이 작동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고, 나와 다름을 존중하는 태도 역시 현대인의 지성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 “한국 화장품 어디까지 갔을까?” – 설화수는 중국, 라네즈는 미국, 클리오는 동남아! 브랜
“K-뷰티는 이제 전 세계가 주목하는 산업입니다.”그 중심에는 설화수, 후, 라네즈, 클리오, 이니스프리 등**세계 시장에서 맹활약 중인 ‘한국 화장품 브랜드’**가 있습니다.하지만 브랜드마
particleseoul.tistory.com
💍 “결혼식 축의금, 나라마다 얼마가 적당할까?” – 한국, 일본, 미국, 중국, 프랑스의 결혼식
“한국은 결혼식 가면 보통 5만 원 아니면 10만 원인데, 외국은 어떨까?”“일본은 축의금 액수가 많다는데, 진짜인가요?”“결혼식 초대받으면 식사 기준으로 돈을 정하는 게 일반적인가요?”
particleseoul.tistory.com
🏔 “이 산에 오르면, 그 풍경이 다 보인다” – 전쟁 중 지휘관이 올랐고, 지금은 등산객이 감
“그는 산 정상에 올라 적의 움직임을 살폈다.지금 우리가 보는 도심의 전경은,그때 누군가에겐 전략이었고 생존이었고, 역사였다.”등산은 단순히 오르내림이 아닙니다.정상에서 무엇을 보느
particleseoul.tistory.com
🚗 “차 안에서 나는 그 냄새, 방향제로 가려지지 않습니다” – 중고차·에어컨·여름철 차량
“중고차를 샀는데, 전 주인의 냄새가 그대로 나요.”“여름철만 되면 에어컨 키자마자 퀴퀴한 냄새가 확 올라오는데… 왜 그런 거죠?”“실내 세차를 했는데도 냄새가 안 없어져요!”차 안 냄
particleseoul.tistory.com
🌙 “덮으면 더워, 안 덮으면 추워?” – 여름밤 숙면을 책임지는 이불과 베개의 모든 것! 냉감
“여름이 되면 도대체 뭘 덮고 자야 하죠?”“덮으면 땀이 차고, 안 덮으면 새벽에 추워서 깬다…”여름철 숙면, 알고 보면 ‘이불과 베개’가 좌우합니다!기온이 올라가고 열대야가 시작되는
particleseoul.tistory.com
⏳ "워라벨(Work-Life Balance)은 언제부터 누가 사용했을까? 대한민국과 해외의 현실, 기업 사례, MZ세
✅ 워라벨, 정확히 무슨 뜻일까?'워라벨(Work-Life Balance)'은 일(Work)과 삶(Life) 간의 균형(Balance)을 뜻하는 용어로, 개인이 업무와 여가·가족·취미생활 등을 균형 있게 유지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particleseoul.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