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 뉴스, 단어만 이해하면 훨씬 재밌어집니다"
문화 섹션 뉴스를 보다 보면 이런 말이 등장합니다:
- "○○ 감독의 아방가르드 연출이 돋보이는 작품"
- "K-컬처의 소프트 파워, 전 세계를 매료시키다"
- "젠더 감수성과 문화검열 논쟁"
하지만 용어 자체가 익숙하지 않으면 흐름을 따라가기 어렵습니다.
이 글에서는 2025년 기준 문화 뉴스에서 자주 등장하는 핵심 용어들을 쉽게 풀어드립니다.
🎬 영화·예술 관련 용어
🔹 아방가르드 (Avant-garde)
- 기존의 형식이나 관습에 얽매이지 않는 실험적 예술
- 예: 구조가 파괴된 영화, 낯선 시청각 언어 사용
🔹 미장센 (Mise-en-scène)
- 한 장면을 구성하는 배치와 연출
- 영화에서는 조명, 소품, 배우 동선, 배경까지 포함
🔹 누벨바그 (Nouvelle Vague)
- 1950~60년대 프랑스 영화의 새로운 물결
- 즉흥성, 핸드헬드 카메라, 비전문 배우 등 실험적 요소가 특징
🔹 디스토피아 / 유토피아
- 유토피아: 이상향 (완벽한 사회)
- 디스토피아: 억압, 감시, 폐쇄적 사회 (ex. 영화 ‘헝거게임’)
🔹 오마주 / 패러디
- 오마주: 존경을 담아 다른 작품의 스타일이나 장면을 차용
- 패러디: 풍자적 의도로 기존 작품을 흉내냄
🧑🎤 대중문화 & 트렌드 용어
🔸 K-컬처 (K-Culture)
- K-팝, K-드라마, K-푸드, K-뷰티 등 한국 대중문화 전반
- 한류(Hallyu)라는 말보다 확장된 개념
🔸 소프트 파워 (Soft Power)
- 군사력, 경제력이 아닌 문화·가치·이미지를 통해 영향력 행사
- BTS, 기생충 등은 한국의 소프트 파워 사례로 자주 언급
🔸 OTT (Over The Top)
- 인터넷 기반 동영상 서비스 플랫폼 (ex. 넷플릭스, 디즈니+, 웨이브 등)
- 기존 방송국 시스템과의 경쟁·연계가 주요 이슈
🔸 팬덤 경제 / 팬덤 마케팅
- 팬들이 콘텐츠 소비를 넘어서 직접 굿즈 제작, SNS 홍보 등 주도
- '문화의 소비자 → 생산자' 변화로 주목
🔸 밈 (Meme)
- 인터넷을 통해 빠르게 유행하고 복제되는 콘텐츠 요소
- 짤방, 유행어, 패러디 등으로 진화 (Ex. 짤 '손흥민 셀카')
🧠 사회문화적 키워드
🔹 문화 다양성 (Cultural Diversity)
- 다양한 인종, 언어, 문화 배경이 존중받는 사회적 가치
- 다문화가정, 이주민, 소수자 문화 등의 보호와 관련
🔹 젠더 감수성 / 퀴어 문화
- 젠더 감수성: 성별 차이에 대한 존중과 이해를 바탕으로 한 문화적 감수성
- 퀴어 문화: LGBTQ+ 커뮤니티의 정체성과 문화적 표현을 포괄
🔹 문화검열 / 표현 규제
- 선정성, 폭력성, 정치적 민감성 등을 이유로 콘텐츠를 제한하는 행위
- 표현의 자유와 균형 논쟁 자주 발생
🔹 문화 자본 / 문화 격차
- 교육, 환경, 취향 등으로 형성되는 '문화 향유 능력'의 차이
- 고급 예술에 대한 접근성, 예술교육 불균형 등 문제로 이어짐
📚 문학·출판 관련 표현
🔸 리터러시 (Literacy)
- 단순한 문해력뿐 아니라 '읽고 해석하고 활용하는 능력'
- 디지털 리터러시, 뉴스 리터러시 등으로 확장 중
🔸 북큐레이션 / 독립서점
- 단순 판매가 아닌 추천·기획 중심의 책 소개 방식
- 독립서점은 출판사와 무관하게 큐레이션 중심으로 운영
🖼️ 문화정책 및 제도 용어
🔹 문화 복지 / 문화 향유권
- 모든 국민이 예술·문화 활동을 누릴 수 있도록 지원하는 권리
- 문화누리카드, 공공 공연·전시 지원 등
🔹 문화도시 / 예술인 고용안정제
- 지역 문화 기반 도시 개발 (ex. 청주, 전주 등 문화도시 지정)
- 예술가들의 직업적 안정성을 위한 지원 정책도 확대 중
🔹 문화예술교육
- 예술을 통해 창의력, 표현력, 정서 발달을 돕는 교육 프로그램
- 정규 교과 및 지역 커뮤니티 기반으로 운영 확대 중
✅ 마무리하며
문화 뉴스는 감성과 정보가 어우러진 영역입니다.
하지만 기본 용어만 익혀도 훨씬 친숙하고, 삶에 가까운 콘텐츠가 됩니다.
예술, 대중문화, 정책까지 골고루 아우른 이 글을 통해
뉴스를 더 깊이 읽고, 더 정확히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
📰 요즘 뉴스, 너무 어렵다고 느끼셨나요? 사회 뉴스에 자주 등장하는 필수 용어 완전 정리 (2025
📌 "사회의 흐름을 읽는 힘, 단어 이해에서 시작됩니다"뉴스를 보다 보면 이런 표현들이 익숙하게 들리죠?"노란봉투법을 둘러싼 국회 논의가 격화되고 있다""표현의 자유 vs 혐오 표현 규제 사이
particleseoul.tistory.com
💸 경제뉴스를 10배 더 잘 이해하는 법 요즘 뉴스에 자주 등장하는 경제 키워드 완벽 해설 (2025
💬 "경제 뉴스가 어려워요..." 라고 느껴진다면?뉴스에서 경제 관련 기사들을 보면“기준금리 인하 발표에 따라 원화 약세가 우려된다” “환율과 무역수지 적자폭 확대, 스태그플레이션 공포
particleseoul.tistory.com
🗳️ 정치뉴스가 더 이상 낯설지 않도록! 요즘 뉴스에 자주 나오는 정치 키워드 완벽 정리 (2025
🧾 왜 우리는 정치뉴스를 보면서 모르는 단어에 당황할까?요즘 뉴스는 마치 암호처럼 느껴질 때가 많습니다. “여야가 협치를 통해 법안을 처리하기로 했다.” “포퓰리즘적 발언이 논란이다.
particleseoul.tistory.com
“2025 자동차보험 갱신 꿀팁 대공개! 보험료 확 줄이는 법 알려드림”
🧾 들어가며: "자동차보험은 갱신보다 '재정비'가 우선입니다"매년 갱신 시기가 다가오면 고민이 많아집니다. “이번에도 그냥 기존 보험으로 갱신할까?”, “조금 더 싸게 가입할 수는 없을까?
particleseoul.tistory.com
📌 부가세, 종합소득세, 4대보험... 개인사업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세금과 비용 기본 가이드 (202
🧾 들어가며: "세금은 몰라도 되지 않아요, 모르면 손해입니다"개인사업자로 처음 사업을 시작하면 가장 막막한 것이 바로 세금과 4대보험입니다. 매출이 조금씩 발생하더라도, 제대로 신고하
particleseoul.tistory.com
🧳 2025 워킹홀리데이 준비물 완벽 체크리스트 + 보험 & 계좌 개설 핵심 팁
✈️ 출국 전, 뭘 챙겨야 하지? 워홀 준비물은 '전략'이다처음 워킹홀리데이를 떠나는 사람들은 보통 이렇게 말하죠."짐을 싸고는 있는데, 뭐가 꼭 필요하고 뭐는 굳이 안 챙겨도 되는지 모르겠
particleseoul.tistory.com
🍽️ 70대 부모님 입맛 살아나는 여름 외식 BEST 10 – 건강하고 품격 있게, 서울 맛집으로 모십니
여름이 되면 입맛을 잃기 쉬운 계절입니다. 특히 70~80대 부모님 세대에게는 더위, 땀, 무력감으로 인해 식사량이 줄고, 입맛도 사라지기 쉽습니다. 그래서 주말마다 부모님을 모시고 외식을 고민
particleseoul.tistory.com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1? 확통? 그게 뭔데?” – 고등학교 수학 과목 구조와 개념 완전 정리 (2025년 기준) (2) | 2025.07.01 |
---|---|
🎒 무료 체험 교육 플랫폼, 이렇게 많았어?-서울시·지자체 운영 교육 콘텐츠 총정리 (2) | 2025.06.28 |
📰 요즘 뉴스, 너무 어렵다고 느끼셨나요? 사회 뉴스에 자주 등장하는 필수 용어 완전 정리 (2025 최신판) (1) | 2025.06.27 |
🗳️ 정치뉴스가 더 이상 낯설지 않도록! 요즘 뉴스에 자주 나오는 정치 키워드 완벽 정리 (2025 최신판) (3) | 2025.06.27 |
👨👩👧👦 “지금 이 주말이, 아이와 함께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일 수도 있습니다” – 요즘 초등학생에게 꼭 필요한 부모의 주말 프로젝트 (7) | 2025.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