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1800년대 초반: 산업혁명의 여파와 조선의 현실
서양: 기계화의 시작과 교통 혁명
- 1804년, 영국에서 세계 최초의 증기 기관차가 리처드 트레비딕에 의해 시험 운행되었습니다.
- 산업혁명은 석탄, 철강, 증기기관을 중심으로 발전하면서 서구 사회를 기계화하고, 농업 중심 사회에서 공업 중심 사회로 변화시켰습니다.
- 도시화가 급격히 진행되었고, 상하수도 시스템 개발이 도시 생활을 개선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조선: 실학의 발전과 전통적 사회 구조
- 조선은 18세기 실학자들의 노력으로 농업 중심의 경제 개선을 시도했으나, 사회 구조는 여전히 봉건적 계급제에 머물렀습니다.
- 농민들은 여전히 자급자족 경제에 의존했으며, 증기기관 같은 기술은 들어오지 않았습니다.
- 정조 사후(1800년) 왕권 약화와 세도 정치가 시작되며 내부적인 혼란이 증가했습니다.
728x90
1830~1850년대: 철도와 상하수도의 확립 vs. 조선의 쇄국 정책
서양: 철도망 확립과 위생 기술 발전
- 1830년, 영국의 리버풀-맨체스터 철도가 개통되면서 철도는 물류와 인구 이동의 핵심이 되었습니다.
- 도시 위생을 개선하기 위해 1850년대 영국과 유럽에서는 상하수도 시설이 본격적으로 확립되었습니다.
- 존 스노우는 1854년 런던 콜레라 발생 지역을 조사해 상하수도의 위생 문제가 질병 확산의 원인임을 밝혀냈습니다.
조선: 봉건적 경제와 전통 농업 유지
- 조선은 여전히 농업 중심의 자급자족 경제를 유지하며, 서양의 기술 발전과는 무관한 상태였습니다.
- 쇄국 정책으로 인해 외부로부터의 기술 도입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 1860년대부터 흥선대원군이 쇄국 정책을 강화하며 서양과의 접촉을 차단했습니다.
1870~1880년대: 전기의 발명과 개항기의 조선
서양: 전기의 시대
- 1879년, 토머스 에디슨이 전구를 발명하며 인류의 생활 패턴이 변화했습니다.
- 미국과 유럽에서는 전기 에너지를 이용한 기계와 가정용 전자기기가 등장하며 산업과 가정 모두에서 전기화가 진행되었습니다.
조선: 개항과 변화의 시작
- 1876년, 강화도 조약을 통해 조선이 일본에 의해 강제로 개항되었습니다.
- 개항 이후 서양 기술이 조금씩 도입되었으나, 이는 상층 계급의 일부에 국한되었습니다.
- 1883년, 근대적 신문인 한성순보가 발행되며, 조선의 지식인층 사이에 근대화 논의가 시작되었습니다.
- 그러나 농민들은 여전히 전통적인 농업과 자급경제에 의존했습니다.
1900년대 초: 자동차, 비행기의 등장과 대한제국의 탄생
서양: 교통 혁명과 항공의 시작
- 1903년, 미국의 라이트 형제가 인류 최초로 동력 비행기를 성공적으로 시험하며 항공시대가 열렸습니다.
- 자동차 산업도 급격히 발전하며, 1908년 헨리 포드는 세계 최초의 양산형 자동차 포드 모델 T를 출시했습니다.
조선: 대한제국과 일제 침략의 시작
- 1897년, 조선은 대한제국으로 국호를 변경하며 자주독립국을 선언했으나, 1905년 을사조약으로 일본의 보호국이 되었습니다.
- 서양 기술과 문물은 일본을 통해 제한적으로 도입되었지만, 이는 주로 일본의 식민 통치를 강화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었습니다.
- 1900년대 초, 서울에 가로등과 전신주가 설치되었으나 이는 일부 도심 지역에만 국한되었습니다.
1920~1930년대: 라디오와 대공황, 조선의 근대화 노력
서양: 라디오와 방송의 시대
- 1920년, 미국에서 세계 최초의 라디오 방송국 KDKA가 설립되며 방송과 언론의 대중화가 시작되었습니다.
- 1929년 대공황으로 미국과 유럽이 경제적 혼란을 겪었지만, 기술 발전은 멈추지 않았습니다.
조선: 근대화 노력과 일제 식민지
- 1920년대, 조선에서도 라디오 방송이 시작되었으나 이는 일본의 식민 통치를 선전하는 도구로 사용되었습니다.
- 조선인들은 여전히 농업 중심 경제에 머물렀으며, 산업화는 일본인 소유의 공장을 중심으로 진행되었습니다.
- 1930년대, 도시에서는 근대적 상점과 전기 설비가 증가했으나, 농촌 지역의 삶은 크게 변화하지 않았습니다.
1940~1950년대: 컴퓨터 시대의 태동과 해방 후의 조선
서양: 컴퓨터와 원자력의 시작
- 1940년대, 앨런 튜링이 현대 컴퓨터의 개념을 확립하며 정보화 시대의 기반이 마련되었습니다.
- 1945년,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원자력 에너지가 개발되어 전쟁과 에너지 분야에서 큰 변화를 일으켰습니다.
조선: 해방과 전쟁
- 1945년, 조선은 해방을 맞이했지만 곧 이어진 **한국전쟁(1950~1953)**으로 인해 산업화와 기술 발전이 지체되었습니다.
- 해방 직후, 조선은 경제 기반이 붕괴된 상태로, 농업 중심의 경제 구조에서 벗어나지 못했습니다.
1960~1970년대: 정보화 사회의 도래와 대한민국의 산업화
서양: 정보화 사회로의 전환
- 1969년, **아르파넷(ARPANET)**이 개발되며 인터넷의 기초가 확립되었습니다.
- 미국과 유럽에서는 정보 기술 산업이 급격히 발전하며, 산업 구조가 제조업 중심에서 정보 산업 중심으로 변화했습니다.
대한민국: 경제 개발과 산업화
- 1960년대부터 대한민국은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을 통해 급속한 산업화를 이루었습니다.
- 전통적 농업 사회에서 벗어나, 제조업과 수출 중심 경제로 전환되었습니다.
- 서양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며, 경부고속도로와 같은 인프라가 건설되었습니다.
결론: 서양의 기술 발전과 조선의 대응
서양은 1800년대 이후 증기기관, 전기, 컴퓨터와 같은 발명품을 통해 세계적인 산업화와 기술 발전을 이루었습니다. 반면, 조선은 봉건적 사회 구조와 외세의 침략으로 인해 서양의 기술적 진보에 뒤처졌습니다. 그러나 20세기 중반 이후 대한민국은 서양 기술을 수용하며 경제 발전과 기술 혁신을 이루어, 현재는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정보 기술 강국으로 자리잡았습니다.
300x250
'나에게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술 마신 다음 날 해장의 필요성과 방법: 과학적·문화적 접근 (4) | 2024.11.24 |
---|---|
성관계와 건강: 과학적·의학적 관점에서의 검토 (2) | 2024.11.24 |
러닝 붐과 스포츠 테이핑의 효과: 과학적 근거와 올바른 사용법 (19) | 2024.11.23 |
화이트 밸런스란 무엇인가: 개념부터 실질적인 활용까지 (1) | 2024.11.23 |
대한민국 프로야구 구단별 홈구장 소개 (1) | 2024.1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