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입시는 시대와 함께 변화하며, 이에 따라 새로운 용어나 줄임말이 생겨나고 있습니다. 특히, 학생들 사이에서 흔히 사용되지만 기성세대에게는 낯선 단어들이 많습니다. 이 글에서는 수능과 내신, 그리고 입시와 관련된 다양한 용어들을 정리하고, 그 의미를 설명합니다. 입시를 이해하고 자녀나 학생들과 원활히 소통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1. 입시 관련 주요 신조어와 약어
1) 수포자
- 뜻: '수학을 포기한 사람'의 줄임말.
- 주로 수학에 흥미를 잃거나 학업적 부담이 커서 수학 공부를 포기한 학생을 뜻합니다.
- 관련 표현: 영포자(영어를 포기한 사람), 국포자(국어를 포기한 사람).
2) 예타
- 뜻: '예비타당성조사'의 줄임말.
- 학생들 사이에서는 특정 시험이나 학습 활동에 대해 미리 연습하거나 준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예: "수학 시험 전에 예타 한번 하고 들어가야겠다."
3) 벤다이어그램
- 뜻: 수학 시간에 사용하는 도식 중 하나.
- 입시에서는 특정 과목에서 어떤 주제가 서로 겹치는지 분석하는 데 사용하는 표현으로 쓰입니다.
- 예: 국어 시험에서 문학과 비문학의 공통 유형을 찾는 방식에 비유됩니다.
4) 빵꾸
- 뜻: 특정 시험에서 맞히지 못한 문제를 뜻함.
- "수능 모의고사에서 빵꾸가 너무 많이 났다"는 표현처럼 자주 사용됩니다.
5) 이과 감성/문과 감성
- 이과 감성: 숫자와 논리적인 사고를 선호하는 성향.
- 문과 감성: 언어와 창의적인 표현을 선호하는 성향.
- 학생들이 자신의 학업적 성향을 농담처럼 표현할 때 사용합니다.
728x90
2. 수능 관련 주요 용어
1) 킬러 문항
- 뜻: 수능에서 난이도가 매우 높은 문제를 뜻함.
- 킬러 문항은 상위권 학생들의 변별력을 가르는 데 사용됩니다.
2) 준킬러 문항
- 뜻: 킬러 문항보다 약간 쉬운 문제.
- 중상위권 학생들의 실력을 판별하는 데 쓰이며, 최근 수능에서 논란이 되는 유형 중 하나.
3) 백분위
- 뜻: 특정 학생의 점수가 전체 응시자 중 몇 퍼센트에 해당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
- 예: 백분위 90은 상위 10%에 속한다는 의미입니다.
4) 표점(표준점수)
- 뜻: 학생들의 원점수를 상대적인 점수로 환산한 값.
- 난이도가 높은 시험일수록 표점이 높아지며, 대학 입시에 중요한 지표입니다.
5) 원점수
- 뜻: 시험에서 실제로 맞힌 점수.
- 입시에 직접적으로 반영되지는 않지만 학생들에게는 직관적으로 자신의 성적을 이해하는 데 사용됩니다.
6) 생활기록부(생기부)
- 뜻: 학생의 학업 성취와 학교생활 전반을 기록한 문서.
- 학종(학생부종합전형)에서 중요한 평가 자료로 사용됩니다.
7) 오지선다
- 뜻: 객관식 문제에서 다섯 개의 선택지를 제공하는 형식.
- 수능의 주요 문제 형식으로, 오지선다에서 함정을 피하는 것이 중요한 전략입니다.
3. 내신 관련 용어
1) 내신 컷
- 뜻: 특정 학교나 학과에 합격하기 위한 내신 성적 기준.
- "이 대학의 내신 컷은 1.8이다"라는 식으로 사용됩니다.
2) 교과 전형
- 뜻: 학생의 내신 성적을 중심으로 평가하는 대학 입학 전형.
- 수능 최저학력기준이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습니다.
3) 학종(학생부종합전형)
- 뜻: 내신 성적뿐 아니라 비교과 활동, 생기부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전형.
- 학생 개개인의 다양한 잠재력과 역량을 중요하게 봅니다.
4) 수행평가
- 뜻: 학생의 학습 과정과 결과를 평가하기 위한 과제 또는 시험.
- 내신 성적에 포함되며, 프로젝트, 발표, 보고서 작성 등이 포함됩니다.
4. 학습과 시험 관련 단어
1) 선행 학습
- 뜻: 학교 진도보다 앞서 학습하는 것.
- 학원이나 인터넷 강의를 통해 미리 학습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2) N수
- 뜻: 수능을 여러 번 응시한 학생을 뜻함.
- 예: 재수(2번째), 삼수(3번째), 반수(대학에 다니면서 수능 준비).
3) 학군
- 뜻: 특정 지역의 교육 수준과 학업 경쟁력을 평가하는 용어.
- "강남 8학군"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4) 메가스터디/이투스
- 뜻: 국내 주요 입시 학원의 이름.
- 학생들 사이에서는 온라인 강의 플랫폼을 지칭하기도 합니다.
5) 현강
- 뜻: '현장 강의'의 줄임말로, 학원에서 직접 듣는 강의를 뜻합니다.
- 온라인 강의(인강)와 대조적으로 사용됩니다.
6) 반수생
- 뜻: 이미 대학에 진학했지만 다시 수능을 준비하는 학생.
- 기존 학교에 다니면서 입시 준비를 병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7) 다크호스
- 뜻: 평소에 눈에 띄지 않다가 시험에서 놀라운 성적을 내는 학생.
- 공부량이 적었지만 높은 성과를 낸 경우에 사용합니다.
5. 대학 입학 관련 용어
1) 자소서(자기소개서)
- 뜻: 대학 입시에서 학생이 자신을 소개하며 제출하는 글.
- 학종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2) 면접 전형
- 뜻: 대학 입학 과정에서 교수와의 면접을 통해 평가받는 전형.
- 말하기 능력, 논리적 사고, 태도 등이 중요한 평가 요소입니다.
3) 정시
- 뜻: 수능 성적을 기반으로 대학에 지원하는 전형.
- 주로 수능 성적과 실기, 면접 등이 포함됩니다.
4) 수시
- 뜻: 내신, 학종, 특별 전형 등을 통해 수능 이전에 지원할 수 있는 전형.
- 한국 대학 입시의 주요 전형 중 하나로, 정시와 대비됩니다.
5) 논술 전형
- 뜻: 논술 시험을 통해 학생의 논리적 사고와 글쓰기 능력을 평가하는 전형.
- 수능 성적과 병행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6. 학생들이 자주 사용하는 은어
1) 족보
- 뜻: 특정 시험이나 학원의 문제 유형과 풀이를 정리한 자료.
- 주로 기출 문제를 뜻하며, "이 학원의 족보는 완벽하다"라는 식으로 사용됩니다.
2) 풀커리
- 뜻: 'Full Curriculum'의 줄임말로, 특정 강사의 강의를 모두 수강하는 것을 뜻함.
- "이 선생님의 풀커리는 기본 강의부터 심화까지 포함된다."
3) 뽀개기
- 뜻: 특정 과목이나 유형의 문제를 집중적으로 반복 학습하는 것.
- "국어 독서 뽀개기 들어간다"는 식으로 사용됩니다.
7. 결론
입시와 관련된 용어들은 입시 환경의 변화와 학생들의 창의적 표현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기성세대가 이 용어들을 이해하면 학생들과의 소통이 더 원활해지고, 입시 과정에 대한 더 깊은 이해를 얻을 수 있습니다.
300x250
'나에게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티스토리 블로그 색인 문제와 구글 애드센스 징계의 상관관계: 해결 방안과 주의사항 (3) | 2024.12.10 |
---|---|
하남 교산신도시: 수도권의 새로운 주거 중심지 (3) | 2024.12.08 |
Gwanghwamun: The Heart of Korea’s History and Democracy (1) | 2024.12.07 |
대한민국의 심장, 광화문: 역사와 현대를 잇는 상징적 공간 (3) | 2024.12.07 |
드보르작의 교향곡 9번, ‘신세계로부터’: 두 세계를 잇는 음악적 걸작 (4) | 2024.1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