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벗의 시대 2025년 경제전망』

Marcus Park 2024. 12. 31. 14:53
728x90

『피벗의 시대 2025년 경제전망』

김광석 저자의 『피벗의 시대 2025년 경제전망』은 2025년을 기점으로 세계와 한국 경제의 변화를 예측하고, 이에 대한 대응 전략을 제시하는 경제서입니다. '피벗(Pivot)'은 방향 전환을 의미하며, 특히 금리 인하와 통화정책의 변화를 지칭합니다. 저자는 이러한 전환의 시대에 개인과 기업이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를 심도 있게 다루고 있습니다.

728x90

책의 주요 내용 요약

1부: 2025년 세계 경제 트렌드

  1. 피벗의 시대, 금리인하 이후의 세계: 세계 각국이 금리 인하를 통해 완화적 통화정책으로 전환하는 시기를 맞이하며, 이는 글로벌 경제에 다양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됩니다.
  2. '역피벗'하는 일본, 수퍼 엔저와의 작별: 일본은 다른 주요 경제국과 달리 금리 인상을 통해 초저금리 정책에서 벗어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3. 엔 캐리 청산 공포, 피벗의 역습: 엔 캐리 트레이드(일본의 낮은 금리로 자금을 조달하여 해외 고수익 자산에 투자하는 전략)의 청산이 글로벌 금융 시장에 미칠 잠재적 위험을 분석합니다.
  4. 저성장의 늪에 빠진 세계 경제: 팬데믹, 지정학적 불안, 물가 상승 등으로 인해 세계 경제는 저성장이 고착화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5. '나홀로 골디락스' 미국: 미국 경제는 상대적으로 양호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으나, 이는 다른 경제국과의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6. 해리스노믹스 vs 트럼프 2.0 시나리오: 미국의 정치적 상황에 따른 경제 정책의 변화를 예측하고, 이에 따른 글로벌 경제의 영향을 분석합니다.
  7. 극단적 보호무역주의 시대의 재림: 보호무역주의의 부활이 세계 경제에 미칠 영향을 다룹니다.

2부: 2025년 한국 경제 트렌드

  1. '피크 코리아' 아닌 '두 번째 한국'으로: 한국 경제가 정체기에 머무르지 않고 새로운 도약을 위해 어떤 전략을 취해야 하는지 제시합니다.
  2. 초고령사회, 초월적 준비: 고령화 사회에 대비한 정책적, 사회적 준비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3. 부동산 시장의 새로운 패러다임: 금리 인하와 경제 정책 변화에 따른 부동산 시장의 변화를 예측합니다.
  4. 디지털 전환과 산업 구조의 변화: 4차 산업혁명과 디지털화에 따른 산업 구조의 변화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대응 전략을 제시합니다.
  5. 지속 가능한 성장과 환경 문제: 환경 문제와 지속 가능한 성장의 중요성을 다룹니다.

심도 있는 리뷰

경제 전망의 정확성과 현실성

김광석 저자는 다양한 경제 지표와 데이터를 기반으로 2025년의 경제 전망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특히 금리 인하와 통화정책의 변화를 '피벗'으로 정의하며, 이러한 전환이 세계 경제에 미칠 영향을 심도 있게 분석합니다. 이는 현재의 경제 상황과 정책 방향을 고려할 때 매우 현실적이고 시의적절한 분석으로 평가됩니다.

일본 경제에 대한 독특한 시각

'역피벗'하는 일본에 대한 분석은 다른 경제서에서 쉽게 접하기 어려운 독특한 시각을 제공합니다. 일본의 금리 인상과 엔 캐리 트레이드의 청산이 글로벌 경제에 미칠 영향을 상세히 다루며, 이는 투자자나 경제 정책 입안자들에게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합니다.

한국 경제의 미래에 대한 제언

저자는 한국 경제가 '피크 코리아'에 머무르지 않고 '두 번째 한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전략을 제시합니다. 이는 초고령사회로의 진입, 부동산 시장의 변화, 디지털 전환 등 다양한 측면에서의 준비와 대응을 강조하며, 한국 경제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합니다.

어려운 경제 용어에 대한 설명

  • 피벗(Pivot): 원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의미하지만, 경제 분야에서는 정책 방향의 전환, 특히 금리 정책의 변화를 지칭합니다.
  • 엔 캐리 트레이드(En Carry Trade): 일본의 낮은 금리로 자금을 빌려 상대적으로 금리가 높은 다른 국가의 자산에 투자하여 수익을 얻는 투자 전략입니다.
  • 역피벗(Reverse Pivot): 다른 주요 경제국이 금리 인하를 통해 통화정책을 완화하는 것과 반대로, 금리를 인상하는 정책 방향을 의미합니다.
  • 골디락스(Goldilocks) 경제: 경기가 과열되지도 침체되지도 않은, 적절한 성장세를 유지하는 이상적인 경제 상태를 말합니다.
  • 보호무역주의(Protectionism): 자국의 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수입품에 대한 관세 부과나 수입 제한 등의 정책을 시행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