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에게 이슈

일상생활에서 틀리기 쉬운 맞춤법 20선: 올바른 사용법과 이유

by Marcus Park 2025. 1. 17.
728x90

맞춤법

맞춤법은 일상적인 글쓰기나 대화에서 우리의 의사를 명확히 전달하기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하지만 일상에서 자주 틀리기 쉬운 맞춤법은 생각보다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자주 틀리는 맞춤법 20개를 선정하고, 각 경우에서 왜 틀렸는지와 올바른 사용법을 상세히 설명합니다. 맞춤법에 대한 올바른 이해는 더 나은 의사소통뿐 아니라 전문성과 신뢰를 높이는 데에도 도움을 줍니다.

728x90

1. 되다 / 돼다

  • 틀린 예: 일이 잘 돼다.
  • 올바른 예: 일이 잘 되다.
  • 이유: '되다'는 기본형이고, '돼다'는 문법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표현입니다. 활용형 '돼'는 '되+어'가 줄어든 형태입니다.

2. 아니요 / 아니오

  • 틀린 예: 아니오, 제가 한 게 아닙니다.
  • 올바른 예: 아니요, 제가 한 게 아닙니다.
  • 이유: '아니요'는 대답할 때 쓰는 말이고, '아니오'는 서술문에서 부정을 나타냅니다.

3. 낳다 / 낫다

  • 틀린 예: 열이 높아 약을 먹으니 금방 낳았다.
  • 올바른 예: 열이 높아 약을 먹으니 금방 나았다.
  • 이유: '낳다'는 출산이나 결과를 내는 의미이고, '낫다'는 병이 나아지거나 더 나은 상태를 뜻합니다.

4. 되게 / 되게나

  • 틀린 예: 어제 음식이 되게나 맛있었어.
  • 올바른 예: 어제 음식이 되게 맛있었어.
  • 이유: '되게'는 정도가 매우 강함을 나타내는 부사로, '되게나'는 틀린 표현입니다.

5. 있을런지 / 있을는지

  • 틀린 예: 그 계획이 성공할 있을런지 모르겠다.
  • 올바른 예: 그 계획이 성공할 있을는지 모르겠다.
  • 이유: '있을는지'가 원래 맞는 표현입니다. '있을런지'는 구어체로 흔히 쓰이지만 맞춤법에 어긋납니다.

6. 어떻게든지 / 어떻게던지

  • 틀린 예: 문제를 어떻게던지 해결하겠습니다.
  • 올바른 예: 문제를 어떻게든지 해결하겠습니다.
  • 이유: '어떻게든지'가 올바른 표현이며, '던지'는 과거 회상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7. 안돼 / 안 되

  • 틀린 예: 그건 절대 안 되.
  • 올바른 예: 그건 절대 안돼.
  • 이유: '안돼'는 '되다'의 부정형이 줄어진 말이고, '안 되'는 동사와 부사의 조합입니다.

8. 왠지 / 웬지

  • 틀린 예: 오늘은 웬지 기분이 좋다.
  • 올바른 예: 오늘은 왠지 기분이 좋다.
  • 이유: '왠지'는 '왜인지'에서 줄어든 말입니다. '웬'은 의문사로 쓰일 때만 맞습니다.

9. 던지 /든지

  • 틀린 예: 뭘 하던지 자유롭게 해.
  • 올바른 예: 뭘 하든지 자유롭게 해.
  • 이유: '든지'는 선택이나 조건을 나타내고, '던지'는 과거 회상을 나타냅니다.

10. 설레임 / 설렘

  • 틀린 예: 그녀를 보면 항상 설레임이 느껴진다.
  • 올바른 예: 그녀를 보면 항상 설렘이 느껴진다.
  • 이유: '설렘'이 올바른 명사형이며, '설레임'은 잘못된 형태입니다.

11. 띄어쓰기 / 띄워쓰기

  • 틀린 예: 문장은 항상 띄워쓰기가 중요합니다.
  • 올바른 예: 문장은 항상 띄어쓰기가 중요합니다.
  • 이유: '띄어쓰기'가 맞는 표현이며, '띄워쓰기'는 틀린 표현입니다.

12. 다르다 / 틀리다

  • 틀린 예: 그의 의견은 제 의견과 틀립니다.
  • 올바른 예: 그의 의견은 제 의견과 다릅니다.
  • 이유: '다르다'는 비교를 나타내며, '틀리다'는 잘못되거나 맞지 않음을 의미합니다.

13. 갖다 / 가지다

  • 틀린 예: 책을 가방에 갖고 다닌다.
  • 올바른 예: 책을 가방에 가지고 다닌다.
  • 이유: '갖다'는 줄임말로 쓰일 수 있지만, 공식적인 글에서는 '가지다'가 맞습니다.

14. 일찍이 / 이르기

  • 틀린 예: 그는 이르기전에 떠났다.
  • 올바른 예: 그는 일찍이 떠났다.
  • 이유: '일찍이'는 시간적으로 빨리 이루어진 상태를 의미합니다.

15. 희안하다 / 희한하다

  • 틀린 예: 정말 희안한 일이네.
  • 올바른 예: 정말 희한한 일이네.
  • 이유: '희한하다'는 드물고 신기하다는 뜻으로 표준어입니다.

16. 금새 / 금세

  • 틀린 예: 그는 금새 사라졌다.
  • 올바른 예: 그는 금세 사라졌다.
  • 이유: '금세'는 '금방'의 의미로 쓰이며, '금새'는 물건의 가격을 나타냅니다.

17. 맞추다 / 맞히다

  • 틀린 예: 문제를 정확히 맞췄다.
  • 올바른 예: 문제를 정확히 맞혔다.
  • 이유: '맞히다'는 정답을 맞는 것이고, '맞추다'는 조정하거나 대상을 겨냥하는 것을 뜻합니다.

18. 되도록이면 / 도록이면

  • 틀린 예: 도록이면 서두르자.
  • 올바른 예: 되도록이면 서두르자.
  • 이유: '되도록이면'이 맞는 표현으로, 가능하다면을 뜻합니다.

19. 이쁘다 / 예쁘다

  • 틀린 예: 그녀는 정말 이쁘다.
  • 올바른 예: 그녀는 정말 예쁘다.
  • 이유: 표준어는 '예쁘다'이며, '이쁘다'는 비표준 표현입니다.

20. 햇빛 / 햇살

  • 틀린 예: 햇살이 너무 눈부셔.
  • 올바른 예: 햇빛이 너무 눈부셔.
  • 이유: '햇살'은 빛의 가닥, '햇빛'은 빛 자체를 의미합니다.

2025.01.17 - [나에게 이슈] - 일상생활에서 틀리기 쉬운 띄어쓰기 20선: 올바른 사용법과 이유

 

일상생활에서 틀리기 쉬운 띄어쓰기 20선: 올바른 사용법과 이유

띄어쓰기는 문장의 의미를 명확하게 전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우리말에서는 띄어쓰기 규칙이 헷갈리거나 생략되는 경우가 많아 자주 실수하게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자주 틀

particleseoul.tistory.com

2025.01.24 - [나에게 이슈] - 고교학점제: 개념, 시스템, 그리고 입시와의 연계

 

고교학점제: 개념, 시스템, 그리고 입시와의 연계

고교학점제는 대한민국 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혁신적인 학사 운영 체제로, 학생들이 자신의 적성과 진로에 맞게 다양한 과목을 선택하여 이수하고, 일정 학점을 취득하면 졸업할 수

particleseoul.tistory.com

2024.12.07 - [나에게 이슈] - 입시 관련 신조어와 주요 용어: 기성세대가 알아야 할 단어들

 

입시 관련 신조어와 주요 용어: 기성세대가 알아야 할 단어들

입시는 시대와 함께 변화하며, 이에 따라 새로운 용어나 줄임말이 생겨나고 있습니다. 특히, 학생들 사이에서 흔히 사용되지만 기성세대에게는 낯선 단어들이 많습니다. 이 글에서는 수능과 내

particleseoul.tistory.com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