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달 급여 명세서를 보니,
건강보험료는 올라 있고, 장기요양보험료도 같이 빠졌어요. 왜 그런 걸까요?"
많은 직장인들이 궁금해하는
4대 보험 중에서도 가장 납부 금액이 크고 변화가 큰 항목,
바로 건강보험과 장기요양보험입니다.
오늘은 이 두 가지 항목에 대해
✔ 정확한 개념
✔ 계산 방법
✔ 법적 근거
✔ 월별 변동 이유
✔ 고소득자 적용 방식
까지 모두 정리해드리겠습니다.
📌 1. 건강보험료란?
📖 개념
건강보험료는 우리가 병원에 갔을 때 진료비의 70% 이상을 국가가 부담할 수 있도록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내는 사회보험료입니다.
즉, 아플 때 대비한 공적 보험 기여금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 적용 대상
- 대한민국 거주자 전원 (직장가입자, 지역가입자)
- 소득이 없는 전업주부, 유학생도 세대 기준으로 지역가입자에 편입됨
📌 2. 장기요양보험료란?
📖 개념
장기요양보험료는 노인성 질환으로 인해 일상생활이 어려운 사람들을 위한 돌봄 서비스 재원을 마련하기 위한 보험입니다.
건강보험료의 일부로 자동 부과되며, 별도로 신청하거나 납부하지 않아도 됩니다.
✅ 쉽게 말해, '내 부모님이나 나중의 나'를 위한 간병 보험
🧾 3. 법적 근거는?
▶ 건강보험
국민건강보험법 제69조 (보험료의 부과)
직장가입자에게는 보수월액을 기준으로,
지역가입자에게는 소득·재산·생활수준을 기준으로 보험료를 부과한다.
▶ 장기요양보험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제10조 (보험료 부과 기준)
장기요양보험료는 건강보험료에 일정 비율을 곱하여 산정하며,
직장가입자의 경우는 소속 사업장에서 일괄 납부한다.
📊 4. 건강보험료 계산 방식 (직장가입자 기준)
📌 공식:
보수월액 × 건강보험요율 = 건강보험료
2024년 기준 건강보험요율: 7.09%
(이 중 절반은 회사, 절반은 본인 부담)
월급 | 3,000,000원 | - |
건강보험요율 | 7.09% | - |
총 보험료 | 3,000,000 × 7.09% = 212,700원 | - |
본인 부담 | 106,350원 | 회사가 나머지 절반 부담 |
🧮 5. 장기요양보험료 계산
건강보험료 × 장기요양보험료율 = 장기요양보험료
2024년 기준 장기요양보험료율: 12.81%
본인 부담 건강보험료 | 106,350원 | 위 계산 기준 |
장기요양보험료 | 106,350 × 12.81% = 약 13,622원 | - |
✅ 즉, 건강보험료가 오르면 → 장기요양보험료도 같이 오름
⏳ 6. 그런데 왜 달마다 금액이 달라질까?
▶ 이유 1: 소득(보수월액)의 변화
- 초과근무수당, 연장근무수당, 상여금 등으로 보수월액이 바뀌면
→ 건강보험료도 재계산됨
▶ 이유 2: 보험료율의 인상
- 매년 건강보험공단이 보험료율을 조정함
- 최근 몇 년간 꾸준히 상승 중
→ 2020년: 6.67% → 2024년: 7.09%
▶ 이유 3: 연말정산 반영
- 연말정산 후 정산 보험료가 발생하면
→ 특정 월에 추가 부과되기도 함
💰 7. 재벌이나 고소득자도 똑같이 내나?
답은 “기준은 같지만, 금액은 어마어마하게 달라진다”입니다.
- 고소득 직장인 → 보수월액 기준으로 수백만 원대 납부 가능
- 지역가입자 중 사업소득·부동산소득 많은 경우
→ 자동차, 재산세 등도 합산되어 수십만~수백만 원대 납부
💬 유명 연예인이나 유튜버들이 매달 수백만 원의 건강보험료를 납부한다는 뉴스, 사실입니다.
📌 8. 자주 묻는 질문
Q1. 프리랜서도 건강보험 내나요?
- 네. 지역가입자로 편입되어 직접 납부합니다.
- 소득, 자동차 보유 여부, 재산세 과세 내역 등을 기준으로 산정
Q2. 무직이면 안 내도 되는 건가요?
- 무직이어도 세대 단위로 가입되기 때문에
세대주가 직장가입자가 아닌 경우 → 지역가입자로 납부 대상 가능성 큼
Q3. 장기요양보험 혜택은 언제부터 받을 수 있나요?
- 65세 이상, 또는 노인성 질환 진단 시
- 등급 판정을 받은 뒤 요양서비스 이용 가능
📝 마무리 요약
- 건강보험료: 내 월급의 일정 비율을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납부
- 장기요양보험료: 건강보험료의 12.81%만큼 자동 추가 납부
- 매달 달라지는 이유는 소득 변화 + 정책 변동 때문
- 누구나 내지만, 고소득자일수록 부담은 더 커진다
- 노후를 위한 사회적 보장 시스템이므로 꼭 필요한 제도
💸 “왜 지난달엔 소득세가 없었는데 이번 달엔 나올까?” – 소득세·주민세 완벽 정리
“나는 분명히 지난달엔 소득세가 없었는데, 이번엔 왜 3만 원이 빠졌지?”“내 친구는 같은 월급인데 왜 나는 더 많이 세금 내는 것 같지?”“주민세는 또 뭐고, 그건 왜 나오는데?”매달 월급
particleseoul.tistory.com
🧼 비누 하나에 왜 10만 원? 싸구려 vs 명품 비누, 성분·향기·피부 효과까지 충격적인 차이 정리
욕실에 놓인 작은 고체 비누 한 장.어떤 건 1,000원, 어떤 건 10만 원.도대체 왜 이렇게 가격 차이가 나는 걸까요?“그게 다 브랜드 값 아니야?”라고 생각한다면,이번 글을 끝까지 읽으셔야 합니다
particleseoul.tistory.com
⛳ “5월~7월 골프장 룩, 이렇게 입으면 다 쳐다봅니다” – 여성 골퍼를 위한 계절별 코디 완전
골프는 더 이상 중년의 운동이 아닙니다.2030 여성 골퍼들이 주도하는 필드의 패션 전쟁,그 중심에는 계절을 반영한 똑똑한 코디가 있습니다.특히 5월,6월,7월 초는아침엔 춥고,낮엔 강한 햇빛과
particleseoul.tistory.com
🧴“SPF만 믿었다간 화상!” 얼굴만 바르다 전신 타버린다 – 올여름 해수욕장용 워터프루프 전
여름만 되면 다들 선크림을 바르기 시작하죠. 그런데 이상하게도, 여행 다녀오면 팔 안쪽과 허벅지 뒷부분, 엉덩이 아래쪽이 화끈거려서 깜짝 놀랐던 경험, 한 번쯤 있지 않으셨나요? 왜일까요?
particleseoul.tistory.com
여름엔 왜 다들 팔토시를 끼는 걸까? 답답한데도 포기 못 하는 이유와 셀럽들이 고른 명품 팔토
“햇볕이 따가워서 쓰긴 쓰는데… 왜 이렇게 덥고 답답하지?”“피부 트러블까지 생기는데 이거 꼭 껴야 해?”여름철 야외 활동이 많아지면 자연스럽게 등장하는 ‘팔토시’. 그런데도 많은 사
particleseoul.tistory.com
'머니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현금도 카드도 없어도 ATM 쓸 수 있어요?”– 요즘 사람들만 아는 ATM의 숨겨진 스마트 기능 7가지 완전 정리 (1) | 2025.05.09 |
---|---|
🧾 “국민연금이랑 고용보험, 왜 빠져나가? 실업급여는 언제 받아?” (1) | 2025.05.07 |
💸 “왜 지난달엔 소득세가 없었는데 이번 달엔 나올까?” – 소득세·주민세 완벽 정리 (1) | 2025.05.07 |
💸 “누구는 290만 원, 누구는 30만 원?” – 국민연금 받는 금액이 왜 이렇게 다른지, 확실히 정리해드립니다 (0) | 2025.05.02 |
❌ "실업급여, 당연히 나오는 줄 알았는데 못 받는다고요?" – 실업급여 못 받는 7가지 사례 정리 + 법적 기준 총정리 (2) | 2025.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