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업

📚 “회사는 왜 매년 교육을 시키는 걸까?”– 성희롱 예방·산업안전·개인정보보호… 법정의무교육의 진짜 이유와 회사·직원의 책임

by Marcus Park 2025. 5. 9.
728x90

 

“회사는 왜 매년 교육을 시키는 걸까?”– 성희롱 예방·산업안전·개인정보보호… 법정의무교육의 진짜 이유와 회사·직원의 책임

 

매년 반복되는 온라인 교육 알림.
성희롱 예방, 개인정보보호, 산업안전보건, 장애인 인식개선 등…

도대체 이걸 왜 매번 들어야 하는 걸까?

728x90


“퇴근 후에 들으라는데 임금은 안 주고...”
“회사는 왜 돈 들여 이런 걸 시킬까?”

이번 글에서는:

  • 법정의무교육의 정확한 개념
  • 어떤 사업장이 반드시 해야 하는지
  • 교육비는 누가 부담하는지
  • 교육 시간은 근무로 인정받는지
  • 실제 잘 운영되는 회사 사례

까지 정리해드립니다.


✅ 1. 법정의무교육이란?

**정부가 정한 '반드시 실시해야 하는 직원 교육'**입니다.
사업장은 해당 교육을 하지 않으면 과태료 등 제재를 받습니다.

대표 교육시행 근거대상자주기
성희롱 예방교육 남녀고용평등법 전 근로자 연 1회
산업안전보건교육 산업안전보건법 전 근로자 연 1~4회
개인정보보호 교육 개인정보보호법 개인정보 취급자 연 1회 이상
장애인 인식개선교육 장애인고용촉진법 전 근로자 연 1회
퇴직연금 교육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 퇴직연금 운영 기업 연 1회 이상
 

📌 즉, “교육은 선택이 아닌 법적 의무”
이를 지키지 않으면 최대 수백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 2. 몇 명 이상 사업장에서 해야 하나요?

대부분의 법정 교육은 모든 사업장에 적용되지만,
일부 교육은 인원 수 기준이 있습니다.

교육사업장 인원 기준
성희롱 예방교육 상시근로자 10인 이상 의무 (10인 미만은 자료 비치로 대체 가능)
산업안전보건교육 상시근로자 1인 이상 사업장 모두 의무
개인정보보호 교육 개인정보 취급 업무 담당자 포함 시
장애인 인식개선 근로자 수 무관 전체 적용
퇴직연금 교육 퇴직연금 도입한 회사만 대상
 

✅ 대부분 사업장은 “회사가 작든 크든” 교육을 해야 합니다.


💰 3. 교육비는 누가 부담할까?

정답: 회사가 부담합니다.

  • 법정의무교육은 사업주의 의무
  • 고용노동부 또는 교육전문기관에 위탁하여
    교육비(콘텐츠, 위탁비, 인건비)는 전적으로 회사 비용 처리
  • 직원에게 교육비를 부담시키는 것은 위법 소지 있음

✅ 비용 부담은 사업주,
✅ 교육 이행은 직원 (이수만 하면 OK)


⏰ 4. 그럼 교육 시간은 근무시간으로 인정돼야 하나요?

“언제, 어떤 형식으로 진행되느냐에 따라 다릅니다.”

교육 조건근로시간 인정 여부
업무시간 중 집체교육 ✔️ 인정 (법적 근로시간)
온라인 교육 (업무시간 중) ✔️ 가능성 있음 (시간 일부 인정)
퇴근 후 자율 수강 ❌ 비인정 (단, 강제성 없을 경우)
강제 수강 + 보고서 제출 ✔️ 강제성 있으면 근로시간 간주 가능
 

💡 교육 시간이 ‘자율적’이라고 하면서 보고서, 시험, 시간 제한 등을 두면
사실상 강제 교육 → 근로시간 인정 대상


👥 5. 직원이 거부하거나 안 들으면?

  • 교육은 사업주의 의무
  • 직원이 의도적으로 불이수 → 회사는 “이수 독려/기회 제공”을 입증해야 함
  • 직원 본인 책임으로 인정되기 어렵기 때문에
    회사가 책임지는 구조로 관리해야 함

💡 잘 운영되는 회사 사례

✅ 예시 1. [A사]

직무와 연계된 콘텐츠로 교육 몰입도 상승

  • 성희롱 예방교육을 마케팅 사례와 연결 → 실제 사례 중심으로 설명
  • 직원 반응: “실제 일할 때 떠올릴 수 있었다”
  • 교육 효과 + 직원만족 동시 달성

✅ 예시 2. [B사]

교육 시간에 카페 쿠폰 제공 + 근무시간 인정

  • 온라인 교육이지만 업무 시간 중 1시간 확보
  • 완료 시 스벅 쿠폰 지급 → 이수율 100%
  • “강요 아닌 동기부여” 방식

✅ 예시 3. [C사]

회식 대신 법정교육 포함한 워크숍

  • 팀별 식사 자리에 전문 강사 초빙
  • 교육 + 팀워크 + 비용 처리 → 일석삼조
  • 법적 이수 인정도 받음

📝 마무리 요약

  • 법정의무교육은 법적으로 반드시 해야 하는 회사의 책임
  • 거의 모든 사업장에서 실시 의무가 있음 (인원에 따라 방식만 달라짐)
  • 교육비는 회사가 부담, 교육 시간은 조건에 따라 근로시간 인정 가능
  • 운영 방식은 회사의 재량이지만, “근로자의 권리와 시간”도 존중받아야

 

 

🌬 “냉방만 하면 손해?! 에어컨의 송풍·제습·AI 모드까지, 제대로 알고 써야 진짜 똑똑한 소비

여름철, 우리는 대부분 리모컨의 [냉방] 버튼만 누릅니다.하지만 요즘 에어컨은 생각보다 훨씬 다양한 기능을 품고 있어요.송풍, 제습, 인공지능, 공기청정, 에너지 절감, 자동 세척까지… 그런

particleseoul.tistory.com

 

 

✍️ “왜 요즘엔 영어 필기체를 안 배울까?” – 사라진 듯하지만 여전히 필요한 필기체의 정체

한때는 미국 초등학교에서 필수로 가르쳤던 영어 필기체.지금은 전 세계적으로 그 쓰임이 줄어들고 있지만,필기체는 여전히 의미 있는 문화 유산이자, 실용적인 기술로 남아 있습니다.이번 글

particleseoul.tistory.com

 

 

💰 “왜 어떤 광고 클릭은 3원이고 어떤 건 3,000원일까?” – Google AdSense 광고 단가의 비밀, 나라

“오늘은 클릭당 12원… 어제는 180원? 왜 이렇게 차이나는 거야?”블로그 수익을 위해 Google AdSense를 운영하다 보면 누구나 한 번쯤 이런 의문을 가집니다.광고는 다 똑같이 뜨는 것처럼 보여도,

particleseoul.tistory.com

 

 

🧾 “국민연금이랑 고용보험, 왜 빠져나가? 실업급여는 언제 받아?”

– 개념부터 책정방법, 실업급여까지 깔끔 정리매달 빠져나가는 국민연금, 고용보험.막상 이 돈이 어디로 가고, 나중에 뭘 받을 수 있는지는 잘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특히 실업급여는 고용보

particleseoul.tistory.com

 

 

💸 “왜 지난달엔 소득세가 없었는데 이번 달엔 나올까?” – 소득세·주민세 완벽 정리

“나는 분명히 지난달엔 소득세가 없었는데, 이번엔 왜 3만 원이 빠졌지?”“내 친구는 같은 월급인데 왜 나는 더 많이 세금 내는 것 같지?”“주민세는 또 뭐고, 그건 왜 나오는데?”매달 월급

particleseoul.tistory.com

 

 

🧺 “이래서 흰티랑 색티 따로 빨아야 해요” – 여름 티셔츠 세탁 실수 하나로 망치는 이유 +

여름엔 누구나 흰티 한 장쯤은 매일 입게 되죠.하지만 이상하게도 세탁하고 나면🙄 흰티가 누렇게 변했다거나,😫 빨래에서 쉰내가 난다거나 하는 일이 생깁니다.“색 있는 옷이랑 같이 빨아서

particleseoul.tistory.com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