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반복되는 온라인 교육 알림.
성희롱 예방, 개인정보보호, 산업안전보건, 장애인 인식개선 등…
도대체 이걸 왜 매번 들어야 하는 걸까?
“퇴근 후에 들으라는데 임금은 안 주고...”
“회사는 왜 돈 들여 이런 걸 시킬까?”
이번 글에서는:
- 법정의무교육의 정확한 개념
- 어떤 사업장이 반드시 해야 하는지
- 교육비는 누가 부담하는지
- 교육 시간은 근무로 인정받는지
- 실제 잘 운영되는 회사 사례
까지 정리해드립니다.
✅ 1. 법정의무교육이란?
**정부가 정한 '반드시 실시해야 하는 직원 교육'**입니다.
사업장은 해당 교육을 하지 않으면 과태료 등 제재를 받습니다.
성희롱 예방교육 | 남녀고용평등법 | 전 근로자 | 연 1회 |
산업안전보건교육 | 산업안전보건법 | 전 근로자 | 연 1~4회 |
개인정보보호 교육 | 개인정보보호법 | 개인정보 취급자 | 연 1회 이상 |
장애인 인식개선교육 | 장애인고용촉진법 | 전 근로자 | 연 1회 |
퇴직연금 교육 |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 | 퇴직연금 운영 기업 | 연 1회 이상 |
📌 즉, “교육은 선택이 아닌 법적 의무”
이를 지키지 않으면 최대 수백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 2. 몇 명 이상 사업장에서 해야 하나요?
대부분의 법정 교육은 모든 사업장에 적용되지만,
일부 교육은 인원 수 기준이 있습니다.
성희롱 예방교육 | 상시근로자 10인 이상 의무 (10인 미만은 자료 비치로 대체 가능) |
산업안전보건교육 | 상시근로자 1인 이상 사업장 모두 의무 |
개인정보보호 교육 | 개인정보 취급 업무 담당자 포함 시 |
장애인 인식개선 | 근로자 수 무관 전체 적용 |
퇴직연금 교육 | 퇴직연금 도입한 회사만 대상 |
✅ 대부분 사업장은 “회사가 작든 크든” 교육을 해야 합니다.
💰 3. 교육비는 누가 부담할까?
정답: 회사가 부담합니다.
- 법정의무교육은 사업주의 의무
- 고용노동부 또는 교육전문기관에 위탁하여
교육비(콘텐츠, 위탁비, 인건비)는 전적으로 회사 비용 처리 - 직원에게 교육비를 부담시키는 것은 위법 소지 있음
✅ 비용 부담은 사업주,
✅ 교육 이행은 직원 (이수만 하면 OK)
⏰ 4. 그럼 교육 시간은 근무시간으로 인정돼야 하나요?
“언제, 어떤 형식으로 진행되느냐에 따라 다릅니다.”
업무시간 중 집체교육 | ✔️ 인정 (법적 근로시간) |
온라인 교육 (업무시간 중) | ✔️ 가능성 있음 (시간 일부 인정) |
퇴근 후 자율 수강 | ❌ 비인정 (단, 강제성 없을 경우) |
강제 수강 + 보고서 제출 | ✔️ 강제성 있으면 근로시간 간주 가능 |
💡 교육 시간이 ‘자율적’이라고 하면서 보고서, 시험, 시간 제한 등을 두면
사실상 강제 교육 → 근로시간 인정 대상
👥 5. 직원이 거부하거나 안 들으면?
- 교육은 사업주의 의무
- 직원이 의도적으로 불이수 → 회사는 “이수 독려/기회 제공”을 입증해야 함
- 직원 본인 책임으로 인정되기 어렵기 때문에
회사가 책임지는 구조로 관리해야 함
💡 잘 운영되는 회사 사례
✅ 예시 1. [A사]
직무와 연계된 콘텐츠로 교육 몰입도 상승
- 성희롱 예방교육을 마케팅 사례와 연결 → 실제 사례 중심으로 설명
- 직원 반응: “실제 일할 때 떠올릴 수 있었다”
- 교육 효과 + 직원만족 동시 달성
✅ 예시 2. [B사]
교육 시간에 카페 쿠폰 제공 + 근무시간 인정
- 온라인 교육이지만 업무 시간 중 1시간 확보
- 완료 시 스벅 쿠폰 지급 → 이수율 100%
- “강요 아닌 동기부여” 방식
✅ 예시 3. [C사]
회식 대신 법정교육 포함한 워크숍
- 팀별 식사 자리에 전문 강사 초빙
- 교육 + 팀워크 + 비용 처리 → 일석삼조
- 법적 이수 인정도 받음
📝 마무리 요약
- 법정의무교육은 법적으로 반드시 해야 하는 회사의 책임
- 거의 모든 사업장에서 실시 의무가 있음 (인원에 따라 방식만 달라짐)
- 교육비는 회사가 부담, 교육 시간은 조건에 따라 근로시간 인정 가능
- 운영 방식은 회사의 재량이지만, “근로자의 권리와 시간”도 존중받아야
🌬 “냉방만 하면 손해?! 에어컨의 송풍·제습·AI 모드까지, 제대로 알고 써야 진짜 똑똑한 소비
여름철, 우리는 대부분 리모컨의 [냉방] 버튼만 누릅니다.하지만 요즘 에어컨은 생각보다 훨씬 다양한 기능을 품고 있어요.송풍, 제습, 인공지능, 공기청정, 에너지 절감, 자동 세척까지… 그런
particleseoul.tistory.com
✍️ “왜 요즘엔 영어 필기체를 안 배울까?” – 사라진 듯하지만 여전히 필요한 필기체의 정체
한때는 미국 초등학교에서 필수로 가르쳤던 영어 필기체.지금은 전 세계적으로 그 쓰임이 줄어들고 있지만,필기체는 여전히 의미 있는 문화 유산이자, 실용적인 기술로 남아 있습니다.이번 글
particleseoul.tistory.com
💰 “왜 어떤 광고 클릭은 3원이고 어떤 건 3,000원일까?” – Google AdSense 광고 단가의 비밀, 나라
“오늘은 클릭당 12원… 어제는 180원? 왜 이렇게 차이나는 거야?”블로그 수익을 위해 Google AdSense를 운영하다 보면 누구나 한 번쯤 이런 의문을 가집니다.광고는 다 똑같이 뜨는 것처럼 보여도,
particleseoul.tistory.com
🧾 “국민연금이랑 고용보험, 왜 빠져나가? 실업급여는 언제 받아?”
– 개념부터 책정방법, 실업급여까지 깔끔 정리매달 빠져나가는 국민연금, 고용보험.막상 이 돈이 어디로 가고, 나중에 뭘 받을 수 있는지는 잘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특히 실업급여는 고용보
particleseoul.tistory.com
💸 “왜 지난달엔 소득세가 없었는데 이번 달엔 나올까?” – 소득세·주민세 완벽 정리
“나는 분명히 지난달엔 소득세가 없었는데, 이번엔 왜 3만 원이 빠졌지?”“내 친구는 같은 월급인데 왜 나는 더 많이 세금 내는 것 같지?”“주민세는 또 뭐고, 그건 왜 나오는데?”매달 월급
particleseoul.tistory.com
🧺 “이래서 흰티랑 색티 따로 빨아야 해요” – 여름 티셔츠 세탁 실수 하나로 망치는 이유 +
여름엔 누구나 흰티 한 장쯤은 매일 입게 되죠.하지만 이상하게도 세탁하고 나면🙄 흰티가 누렇게 변했다거나,😫 빨래에서 쉰내가 난다거나 하는 일이 생깁니다.“색 있는 옷이랑 같이 빨아서
particleseoul.tistory.com